connectivity를 가진 layer에 대해서만 동작함. 즉 CONNECT에 입력 layer가 정의 되어 있어야 한다.
분자와 분모 layer의 area ratio통해 원하는 layer를 찾는 일을 수행함.
- Antenna check
- Floating layer check
NET AREA RATIO L1 D1 == 0
L1 : 분자, D1 : 분모, L1/D1의 값이 0인 L1을 출력. L1과 D1의 연결이 없는 L1 출력
NET AREA RATIO L1 L2 D1 == 1
AREA(L1)+AREA(L2) / AREA(D1)의 결과가 1인 경우.
layer를 연속으로 여러개 사용한 경우 OVER keyword가 없다면 항상 마지막 layer를 분모 layer로 인식. 출력은 L1 layer.
NET AREA RATIO L1 OVER D1 D2 == 1
NET AREA RATIO L1 D1 D2 == 1 [AREA(L1) / (AREA(D1)+AREA(D2))]
AREA(L1) / AREA(D1) + AREA(D2)의 결과가 1인 경우. 이 때 D1 layer가 연결 안되어 있어도 L1과 D2의 ratio가 1이면 L1출력한다.
NET AREA RATIO L1 L2 L3 == 5 [AREA(L3)]
[AREA(L3)] => expression. expression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방식대로 area ratio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constraint와 비교 한다. L1과 연결 된 L3 layer의 area가 5인 경우에만 L1을 출력
< 예제 >
// from mentor
Floating_metal1 {
// select gate pins
ngpin = poly INTERACT ngate
pgpin = poly INTERACT pgate
// find all metal1 not connected to at
NET AREA RATIO metal1 ngpin pgpin nsd psd == 0 [COUNT(nsd) + COUNT(psd) + COUNT(ngpin) + COUNT(pgpin) ]
}
An alternate, faster, NET AREA RATIO uses the !!AREA:
NET AREA RATIO metal1 ngpin pgpin nsd psd == 0 [!!AREA(nsd) + !!AREA(psd) + !!AREA(ngpin) + !!AREA(pgpin) ]
'EDA > Mento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oincident Edge (0) | 2019.05.02 |
---|---|
Convex Edge (0) | 2019.05.02 |